본문 바로가기

DevOps/Naver Cloud Platform

(2)
[OSSCA] Docs directory 수정 현재 Terraform registry에 올라가 있는 ncloud documentation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NaverCloudPlatform/ncloud/latest/docs Resources와 Data Sources로 구분되어 있다. Resources vs. Data Sources resources는 인프라를 제어하기 위해 CRUD가 들어간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CL (Access Control Group) resource를 생성해주는 Resource 관련 HCL 코드를 생성할 때는 현재 docs의 Resources 탭 하단의 ncloud_access_control_group를 들어가면 된다. resource를 처음..
[OSSCA] Terraform Provider 개발을 위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사용 가이드 네이버 클라우드플랫폼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콘솔페이지를 제공해주는데 그 홈페이지를 일컬음 cf.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n_cloudplatform/222189643849 [이렇게 사용하세요!] Terraform을 활용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VPC 인프라 구성하기안녕하세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오늘은 인프라 자동화를 위한 IaC(Infrastructure as a Co...blog.naver.com 클라우드를 왜 쓰는지? 어떤 게 좋은가?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온디맨드 금액 온프레미스 환경과 다르게 유연한 대처 가능 효율적인 비용 절감 사용한만큼 지불하는 등 기회 비용 최적화 등을 통한 비용 절감 다양한 부가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