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4) 썸네일형 리스트형 [DB]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기록 1/ 개념 정리 부모테이블, 자식 테이블 부모 테이블은 다른 테이블과 관계에서 상위에 있는 테이블을 의미한다. 부모 테이블은 주로 기본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른 테이블과의 관계에서 외래 키(Foreign Key)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Users"라는 부모 테이블이 있고, 이 테이블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식 테이블은 다른 테이블과 관계에서 하위에 있는 테이블을 의미한다. 자식 테이블은 부모 테이블과의 관계에서 외래 키(Foreign Key)를 가지며, 부모 테이블과의 관계를 통해 추가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자식 테이블은 부모 테이블의 주 키(Primary Key)를 외래 키(Foreign Key)로 참조하여, 부모 테이블과의 관계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Ord.. [Database] Cluster Cluster A database cluster is a collection of databases that is managed by a single instance of a running database server.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는 실행 중인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단일 인스턴스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모음이다. from.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는 한마디로 여러 데이터베이스들의 모음이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1개의 서버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경우 서버가 죽으면 서비스가 죽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서버가 나눠서 구축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을 클러스터라고 지칭한다. Clustering Database clustering is th.. [Database] RAC, HA High Availability 흔히 "고가용성"이라고 한다. 가용성이란 무엇인가? 서버와 네트워크 또는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정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를 의미한다. 즉, 시스템의 가동률과 비슷한 의미이다. 가용성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정상적인 사용시간) / (전체 사용시간) 이다. 이 값이 높을수록 '가용성이 높다'고 표현한다. 그렇다면, 고가용성이란 무엇인가? 고가용성이란 일반적으로 서버와 네트워크 또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 시스템이 상당히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장애 없이 정상 운영이 가능한 성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DB와 관련하여 이런 고가용성을 위해 설계를 하는데, HA와 RAC 설계 방식 등이 있다. 고가용성을 위해서는 '백업'이나 '장애 극복 처리' 및 '데이터 저장' 및 '엑세.. [SQL] DQL, DML, DDL, DCL, TCL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The database language by the use of which we can perform certain operations on the existing database and also we can use this language to create a database. 한마디로 데이터베이스 언어라고 보면 된다. 즉 테이블에 대한 명령어와 같은 것이다. SQL은 일반적으로 5가지 카테고리로 나뉘어진다. 1. DDL – Data Definition Language 2. DQL – Data Query Language 3. 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 4. DCL – Data Control Language 5. T.. 이전 1 다음